조제 및 가공의 3가지 요소와 광학적 요소 8가지
광학적 요소와 해부학적 요소, 미적 요소가 있다. 그중에서도 광학적 요소에는. PD와 Oh, 안경테의 측면림이 연직선과 만드는 경사각(제대로 만들지 않으면 비점 수차가 생겨 흐려 보이게 됨), 정점 간 거리, 안경렌즈의 곡률(기본 커브), 렌즈 재질의 굴절률, 안면각, 렌즈 삽입부 길이를 적절히 제한 이렇게 총 8가지이다.
안경 조제 및 과공의 흐름
예비과정(안경테를 본격적으로 만들기 전의 과정=기본 피팅=예비과정 피팅)▶렌즈인 점찍기▶테의 형판 만들기▶형판에 설계점 만들기▶자르기와 다듬기(생략 가능)▶가장자리 갈기와 산각 세우기▶렌즈 끼우기▶확인검사와 수정하기▶가공 후 피팅 ▶사용법 설명
피팅의 순서는 크게 4가지로 분류
표준상태 피팅(매대에 팔 때)▶전 피팅▶가공 후 피팅▶사용 중 피팅
※전 피팅은 기본 피팅, 예비과정 피팅, 설계점 설정을 위한 피팅이라고도 한다.
좌우 pd와 oh를 재야 하기 때문에 선택된 안경테가 있어야 가능하다.
전 피팅의 순서
1. 표준상태로 조정하기
2. 설계점 설정을 위한 피팅 (인점을 해야 해서 정간 거리, 경사각, 좌우 코받침 간격, 기울기, 다리 꺾임 부 위치, 다리 벌림 각 확인)
3. 미세 부분 조정(정면 관측, 측면 관측, 감촉)
4. 응용 피팅(안경테를 씌운 다음 피팅)
5. 자각 피팅(손님에게 물어보며 피팅)
안경사의 약속사항 4가지
1. 필요한 렌즈의 최소직경
2. 광학 중심점 높이
3. 경사각
4. 피팅이 최선의 상태로 유지될 것
안경 처방전의 명기 사항 8가지
1. 교정 구면렌즈의 최소직경
2. 교정 실린더 렌즈의 상측 정점 굴절력과 축경선의 방향
3. 교정 토릭렌즈의 양주 경선의 상측 정점 굴절력과 기준 주경선의 방향
4. 프리즘 굴절력
5. 프리즘 렌즈의 기저 방향
6. 원용, 중간거리용, 근용 등의 용도
7. 동공 거리(PD)
8. 가입도
※생략 가능한 명기 사항: 정점 간 거리 (VD)
정점 간 거리는 각막 정점과 렌즈 상측 정점 간의 거리이다. 약 12mm 정도 된다.
※원용은 (5~10m) for dist, for distance, 중간거리용은(50cm~1m) for 1m, for 50cm, for 65, 근용은 (20cm~40cm) for reading, for near
가입도(Add): 가까이 볼 때 도움받는 도수, 노안이거나 젊은 사람이라도 조절력이 부족한 사람은 가입도가 필요하다.
기준 PD란?= 측정기준 PD(원용 PD)
원칙적으로 좌우 안구의 회선점 사이의 수평거리 값을 말한다. 좌우 안 각각 직전방 무한대를 보고 있을 때 수평거리를 재어 사용한다.
단안 기준 PD는 PD자 아래쪽에 0이 적혀있는데 그것을 코 부위의 정중앙에 대고 각각 잰다.(오른쪽 눈을 잴 때는 환자에게 검사자 왼눈을 보라하고 재야 한다)
조가 PD란?
각막 정점에서 12mm 떨어진 좌우 안경렌즈 광학 중심점 거리이다.
앞 면각이란?(안면각)
상부에서 관측해서 안경테의 좌우 렌즈 삽입부의 상부림의 가장 돌출된 곳의 두 접선이 이루는 앞쪽각이다
설계점의 높이는 앞 면각, 경사각과 관련이 있다.
구면 굴절력의 정의
1. 구면렌즈의 상측 정점 굴절력
2. 토릭렌즈의 약주 경선 및 강주 경선의 상측 정점 굴절력
실린더 렌즈의 굴절력의 정의
1. 실린더 렌즈에서 굴절력이 있는 경선의 상측 정점 굴절력
2. 토릭렌즈의 기준 경선과 다른 주경선과의 굴절력 차
실린더 렌즈의 축방향
1. 실린더 렌즈의 굴절력이 없는 경선
2. 토릭렌즈의 기준 경선을 TABO 식 방향각으로 측정했을 때의 위치를 180도 범위 내에서 표기한 것, 1도가 유효숫자이다.
90도=vert↑ , 180도=hor→
순수 프리즘이란
도수는 없으나 프리즘만 있는 눈이다.
빛이 1m 진행했을 때 10cm 꺾이는 정도를 1△이라고 한다. 베이스는 기저 방향, 꼭짓점이 정각 방향이고 360도 각도를 1도 단위로 표기한다.
댓글